이 글은 http://alankang.tistory.com/268 에도 포스팅되었습니다.


Ellen Dissanayake(김한영 번역)의 미학적 인간 – 호모 에스테티쿠스(Homo Aestheticus)를 읽었습니다.

미학적 인간


1. 전체적인 소감:

저자의 설명에 의하면 이 책은 동물행동학(Ethology), 진화론, 생물학에 기반한 미학이론을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 저자는 (본문 중 진화심리학, 사회생물학 서적을 여러 번 인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화론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오류들을 범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형을 나열해보자면:

  • 자연주의적 오류
  • 개체를 적응 실행자(adaptation executer)가 아닌 적응도 최적화자(fitness maximizers)로 보는 오해
  • 진화적 부산물(evolutionary byproduct)의 학술적 의미에 대한 오해

등이 있습니다. 이 책의 초판이 1992년, 개정판이 1995년에 나온 점을 고려하더라도 심하게 오류가 많고 당시에 널리 알려진 진화론적 이론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보입니다.


2. 인용들

본문을 이용해보면 대략 이런 식입니다.

이후의 장들에서 나는 동물행동학적 관점을 이용하여, 예술이란 행동은 보편적이고 본질적이라는 것, 예술은 모든 인간에게 생물학적으로 부여된 성향이라는 것, 대부분의 진화생물학자를 포함하여 그 주제를 설명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 가정해 온 것처럼 주변적인 부수 현상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고자 한다. --p47

...그들조차도 예술에 대한 자연주의적 견해를 전적으로 무시하고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말하거나, 예술을 단지 다른 활동의 부산물로 이해한다. 그런 무책임하거나 경시하는 태도는 예술에 대한 현대 서양의 전반적이며 대표적인 태도이며, 이것이 예술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저해한다. –p84

저자의 오해와 달리, 예술에 대한 부산물 가설은 예술이 하찮은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 않습니다. (참고: Three products of evolution)

또 다른 부분을 살펴보면:

만일 어떤 것(이 경우, 예술)이 매우 즐겁고 강력하게 감정적으로 느껴지고, 그래서 우리가 그 가치를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추구한다면, 그 감정 상태는 그것(가령 예술)이 어떤 면에서 분명 생물학적 생존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 우리가 생존에 필수적인 일들을 하게끔 자연이 보장해 준 방식들 중 하나가 바로 좋은 기분을 만들어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p81

이 단락은 개체를 적응 실행자(adaptation executer)가 아닌 적응도 최적화자(fitness maximizers)로 보는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개체가 어떠한 자극으로부터 긍정적 감정을 느낀다고 해서 그 자극이 항상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특정 행위가 진화된 환경(EEA – Environment of Evolutionary Adaptation)과 현재 환경 사이의 차이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개체의 행동은 비적응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약 복용은 극도의 쾌감을 안겨주지만 거의 모든 상황에서 적응적이지 못한 행동입니다.

다음은 음악의 적응적 이점에 대한 설명 중 일부입니다:

음악은 또한 가축 몰이나 여행처럼 지루한 일을 견딜 수 있게 해 준다 --p91

이는 인과의 방향이 뒤집어진 가짜 설명입니다. “음악이 우리를 지루하지 않게 만들어준다”는 설명은 인간이 음악을 즐기게 된 원인이 아니라 결과입니다. 즉, 음악에 대한 진화론적 가설은 “왜 음악을 들으면 지루함을 견딜 수 있게 되는지”를 설명해야하는 것입니다.

한편 저자는 예술이 “특별하게 하기”라는 속성을 갖는다고 주장하며 아래와 같이 말합니다:

먼저 나는 특별화가 처음 생겨난 이유는, 현재 하고 있는 일이 가치 있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납득시키기 위해서라고 생각했다. 다른 동물들도 그런 이유로 꾸미기를 하는데, 특히 명금류들은 자신의 존재나 개성을 광고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자신의 노래에 공을 들인다. --p116

하지만 이 같은 견해는 성선택(sexual selection) 이론, 비싼 신호 이론(costly signaling theory)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되는 것이죠. 현대의 진화심리학자들은 대체로 동물이나 사람이 “필요 이상의 공을 들이는 행위”를 자신의 잉여력을 과시하기 위해 값비싼 신호를 표출하는 것으로 봅니다.

또한 저자는 예술에 대한 기존의 진화론적 설명들이 실패했다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예술의 경우에 지금까지 진화론적 설명이 실패한 것은, 이론가들이 단지 예술을 희귀하고 엘리트적인 어떤 것으로 보는 편협하고, 현대적이고 서양적인 패러다임 안에서만 이해했기 때문이다. 가령, 예술 같은 어떤 일을 소수의 사람들이 단지 그 자체를 위해 행한다면, 선택 가치를 가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p189

글쎄요, 진화론적 설명이 실패했는지 성공했는지는 제가 판단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지만 일단 그와 무관하게 위 문장엔 또다른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모든 인간의 보편적인 성향에 대해서만 선택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는 견해는 너무 협소하지 않냐는 것이죠. 같은 종 내에서 어떻게 오랜 기간에 걸쳐 광범위한 다양성(어떤 인간은 예술적 재능이 엄청나게 뛰어난 반면 또 다른 인간은 그렇지 못한 점 등)이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러가지 (양립가능한) 진화론적 설명 틀이 존재합니다. (연애 The Mating Mind성격의 탄생 Personality – What makes you the way you are 등 참고)

책의 마지막 단락에서는 전체 주제를 요약하고 있습니다:

예술적 행위들은 모든 사회, 모든 계층에 존재한다. 예술 특유의 신성함과 자유보다 오늘날 더 절실히 필요하고 의미 있는 것은, 중요한 것을 특별하게 만드는 인간의 보편적 선천성인 예술이 단지 예술계의 예술가들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를 비롯해 사실상 모든 사람의 삶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지원받고 장려될 가치가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 지금까지의 길고 복잡한 본문은 여러 학문적 관점으로부터 간단한 결론, 즉 말하기, 일하기, 운동, 유희, 사회화, 학습, 사랑, 보살핌 같은 인간의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행위와 관심사들처럼 '예술도 모든 사람이 인식하고, 장려하고, 개발해야 할 인간의 정상적이고 필연적인 행동'이라는 결론을 이끌어 내기 위한 것이었다. --p400~401

좋은 말이기는 한데 논리적으로는 오류(자연주의적 오류 naturalistic fallacy)죠:

“예술적 행위란 진화된 적응으로 인간 보편적 성향이다. 따라서 좋은 것이다”

라는 결론인데 이 논리대로라면 아래와 같은 명제도 성립합니다:

“강간이 인간 남성의 진화적 적응이라면, 강간은 좋은 것이니 널리 장려해야 한다.”

난감한 얘기죠. 어떤 행위가 진화적 적응이건 부산물이건 뭐건 간에 그 사실로부터 그 행위에 대한 당위를 자동적으로 이끌어낼 수는 없습니다.


3. 결론

예술이나 미학에 대해 진화론/생물학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책을 찾으신다면 이 책 보다는 다음 책들을 추천합니다:

  • 쾌감 본능 (The Pleasure Instinct)
  • 연애 (The Mating Mind)
  • 음악은 왜 우리를 사로잡는가 (Music, The Brain, and Ecstasy - How Music Captures Our Imagination)
  • 빈 서판 (The Blank Slate)

끝.

'독서 소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을 생각한다  (2) 2010.04.11
게임과 문화연구  (3) 2010.04.10
게임하기  (0) 2010.03.21
독소 전쟁사 1941~1945: 붉은 군대는 어떻게 히틀러를 막았는가  (1) 2010.03.20
히틀러 최고사령부 1933~1945년  (4) 2010.03.12
Posted by alankang
,